외장하드 배드섹터가 발생하는 원인
삼성 2tb 외장하드 배드섹터로 인한 인식불가
금일 소개해드릴 사례로는 실제 당사에서도 데이터복구 문의로 많이 접수되는 문제로 하드디스크 및 외장하드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배드섹터 증상에 대해 말해볼게요.
이번에 입고된 삼성 2tb 외장하드 입니다. 어제까지만 해도 멀쩡하게 잘 사용했던 외장하드가 오늘은 이상하게도 컴퓨터에 연결하면 느려지면서 결국엔 인식이 안된다며 복구 의뢰 차 내방해주셨죠. 좀 더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우선 점검에 들어갑니다. 점검을 통해 원인과 증상에 맞는 복구 방법으로 진행을 해야만 원본 손상 없이 복구가 가능하기 때문에 복구 진행에 앞서 점검은 필수입니다.
점검결과, 외장하드 연결 시 '포맷해야 합니다'란 메시지와 함께 '엑세스할 수 없습니다. 매개 변수가 틀립니다'란 메시지가 뜨면서 진행이 안되고, 디스크 관리로 들어가 보면 문제의 디스크의 상태가 RAW로 되었는 증상으로 하드 검사 시 위와 같이 배드섹터가 발생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배드섹터로 인한 인식불가.. 배드섹터가 문제의 요인인 거죠. 배드섹터라는 단어 어디선가 한 번쯤 들어보셨을 텐데요. 배드섹터란? 하나의 특정 저장 영역이 물리적으로 손상되어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없는 증상을 말하며, 배드섹터의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는 외장하드의 특정 파일이나 폴더가 열리지 않거나. 그보다 심한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파일이나 폴더가 열리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최악의 경우 PC에서 인식이 안되고 드라이브가 잡히지 않기도 하죠. 처음엔 사용이 가능했을지라도 나중엔 심각한 속도 저하 또는 인식불가로 이어질 수 있으니 이상 징후가 포착되었을 때 바로 중요한 자료들을 백업해주셔야 합니다.
점검을 통해 원인이 파악되면 곧바로 복구작업을 진행합니다. 진행을 위해 인식불가한 외장하드를 전문 복구 장비에 연결하는데요. PC에서 인식이 되지 않지만 복구장비에선 배드섹터가 발생한 외장하드도 인식이 되죠. 장비에 연결해 전원을 넣으면 레디가 붙고 위에 보시는 것처럼 외장하드 모델명, 시리얼 넘버, 용량까지 모두 정상적으로 인식이 되는걸 확인 후 디스크 이미지 복제 작업을 진행합니다. 하드 검사 시 확인된 바 있는 배드섹터가 발견되기 시작하네요. 연두색 부분은 정상적인 영역에 섹터이고, 노란색 부분은 배드섹터 영역이므로 복제 작업시 건너뛰며 읽게 됩니다. 배드섹터가 발견된 지점의 MBR 영역의 데이터를 읽어내지 못하는 걸 의미하죠. 배드섹터로 인해 MBR 값에 접근이 불가능한 상태로 임의로 ROOT를 만들어 작업을 진행 후 MFT 스캔을 통해 폴더 구조를 확인,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 용량을 체크해준 뒤 데이터 영역에 접근하여 데이터 추출 작업을 진행하게 됩니다.
폴더 구조 분석 및 데이터 복구 작업을 진행한 결과 총 데이터 복구 용량은 1.01TB이며 파일 6,620개 폴더 462개로 복구 완료되었습니다. 위에 사례를 보시면 알 수 있듯이, 배드섹터로 인한 인식불가의 경우 초기 대응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복구율도 달라집니다. 전문 지식도 없는 상태에서 자가 복구를 시도하거나 인식이 되지 않는다고 반복적으로 연결하는 것은 결코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연결 시도만으로도 외장하드 내부에선 손상 확산을 가중시킬 수 있으므로, 외장하드 및 하드디스크 데이터 복구율을 높이기 위해선 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채 데이터 복구 전문 업체에 의뢰하시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며, 외장하드를 비롯한 현재 사용하고 계신 저장매체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시면 부담 없이 오셔서 무료로 진행해 드리는 정밀점검도 받아보시고 궁금하신 사항은 언제라도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하드디스크복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장하드 실수로 포맷해버렸어요 (0) | 2020.11.15 |
---|---|
외장하드 케이블선 그냥 뽑았더니 인식이 안돼요 (0) | 2020.11.09 |
하드디스크복구 CRC 오류 뜹니다 (0) | 2020.11.02 |
삼성 SSD복구 인식이 안되는 이유는 펌웨어 손상 (1) | 2020.10.26 |
외장하드 폴더는 보이지만 클릭 시 파일 또는 디렉터리 손상으로 열리지 않을때 (0) | 2020.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