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디스크복구

외장하드 케이블선 그냥 뽑았더니 인식이 안돼요

인천데이터복구센터DRS 2020. 11. 9. 10:44
728x90
반응형

빠른 데이터 전송은 물론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정하기에 좋은 외장하드나 USB를 사용하시는 분들 많으실 텐데, 외장하드나 USB 사용 후 제거하실때 하드웨어 안전하게 제거하기 누르고 제거하셔야 하는거 알고 계시죠? 데이터가 디스크로 이동이 되었다고 하더라도 디스크에 전류가 흐르고 있고, 바이러스 검사가 파일 전송 이후에 진행이 될 수 있으므로 모든 과정이 끝나고 난 뒤에 안전제거를 해야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고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제거는 필수인데요. 금일 포스팅할 내용 역시 안전제거와 관련하여 왜 안전제거가 중요한지, 그로 인해 데이터 손실까지 우려가 됐던 복구 사례와 외장하드 사용시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까 합니다.


이번에 입고된 LG 제품의 1TB 외장하드 입니다. 몇 시간 전까지만 해도 별문제 없이 잘 사용하셨는데, 갑자기 인식이 안되는 증상으로 문의 전화 후 방문해 주셨죠. 떨어트린 적도 없는 걸로 보아 외부 충격으로 인한 인식불가는 아닌 걸로 판단되어 평상시에 외장하드 사용 후 케이블을 제거할 때 안전제거 기능을 사용하는지 여쭤봤습니다. 역시나 안전제거 기능이 있는지를 모르셨기 때문에 그냥 뽑앗다고 하시더라고요. 실제로도 이런 사례로 의뢰가 많이 들어오는 편입니다. 외장하드를 사용하고 나서 종료를 할 때 대부분 케이블을 강제로 제거하는 경우가 많으신 거죠. 하지만 이렇게 반복적으로 하게 되면 내부에 지속적으로 대미지가 쌓이게 되고 그러다 한순간에 고장이 나는 원인이 발생하곤 합니다.


입고된 외장하드의 경우 드라이브 연결 시 '디스크를 사용하기 전에 포맷해야 합니다' 란 메시지와 함께 디스크 관리로 들어가 보면 문제의 디스크의 상태가 RAW로 변환되어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해당 드라이버에 정보가 없는 상태가 되어 파일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잡히지 않고 있다는 거죠. 일반적으로 포맷 메시지가 발생하는 상황은 단순 접촉 불량에 의한 가벼운 증상보다는 어떠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고장 증상에 가깝습니다. 물리적 손상이라고 볼 수 있죠. 간혹 논리적인 오류나 손상으로도 포맷 메시지가 발생하곤 합니다만, 논리적인 오류가 발생하여 포맷 메시지가 발생된 거라면 복구 작업 또한 수월하게 진행되겠지만, 반대로 물리적 손상으로 인해 외장하드에 포맷 메시지가 발생한 상태라면 상황은 달라집니다.


우려했던 대로 하드 검사 시 배드섹터가 발생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배드섹터란? 하드디스크가 물리적으로 어떤 섹터가 손상을 입어 제대로 판독할 수 없는 현상 또는 해당 섹터를 말하는데요. 일부 배드섹터는 증식도 하기에 하드디스크의 입장에서는 암세포 같은 존재인 거죠. 배드섹터의 양과 위치, 심각한 정도에 따라 복구율 또한 달라지며 하드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하드가 다시 사용이 된다고 해도 일시적인 경우이며, 재손상이 다시 일어나게 되므로 사용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배드섹터가 디스크 복제 작업 중 발견되네요. 데이터를 읽고 쓰지 못하는 불량 영역으로 배드섹터는 CHKDSK 등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검출할 수 있으며, 배드섹터가 발생한 이후에도 계속해서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읽지 못하는 영역을 헤드가 읽기 위해 미디어 표면을 긁어내게되면서 점차 배드섹터가 증식하게 되므로 이 경우 전원 공급을 차단하셔야 합니다. 배드섹터의 증상으로는 시스템이 느려지거나 다운되는 상태, 블루 스크린, 특정 폴더가 없어지거나 접근이 불가능한 상태, CRC 오류, 반복적인 부팅, 포맷 메시지 등 이러한 이상 증상이 자주 발생된다면 배드섹터를 의심해보아야 합니다.


디스크 복제 작업이 모두 마무리가 되고, MFT 스캔 작업을 통해 복구된 데이터의 폴더 구조를 확인,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 용량을 체크해준 뒤 데이터 영역에 접근하여 데이터 추출 작업을 진행하게 됩니다. 특정 영역에 배드섹터가 발생하긴 하였지만 다행이 실제 데이터가 저장된 영역의 손상은 적어 대부분 자료가 복구되었는데요. 그 결과 데이터 복구 용량은 568GB이며 파일 35,093개로 복구 완료되어 새로 구입하신 외장하드에 백업을 진행 후 모든 작업이 마무리 되었습니다.


외장하드 사용 Tip

1. 특성상 이동이 많은 저장 장치인 만큼 파우치에 넣어서 최대한 충격이 가지 않게 사용

2. 너무 큰 용량을 옮기다 보면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저용량 자료부터 순서대로 옮겨 사용

3. 외장하드 사용 수명은 4~5년이 적당합니다. 이후론 문제가 조심씩 발생합니다 4~6개월에 한 번 정도는 포맷해서 사용하시는 게 좋습니다.

4. 여러 군데 컴퓨터에 꽂아 사용을 하신다면 사용 후에는 꼭 백신 검사를 하시는 게 좋습니다.

5. 컴퓨터에서 분리할 때 꼭 안전제거 후 제거하셔아 합니다.



728x90
반응형